분류 전체보기 219

라우터

Router란 만약 네이버.com을 들어가면 최초에 DNS에 접속하게 된다. DNS는 도메인명은 ip가 무엇인지 쓰여있다. 라우터에는 ip table이라는것이 있다. 공인ip란 라우터에 내 ip를 등록해서 바로 내 서버로 접속할 수 있게 하는것 공인ip란 변하지 않는 ip이다. 그래서 공인ip를 돈주고 사는것이다. ipv4 255.255.255.255 (아이피가 많지 않음) ipv6 999.999.999.999(아이피가 많아서 세탁기든 뭐든 공인아이피를 할당해서 IOT로 이용함) OCP는 서버2대까지 공짜이다. 자료구조는 제일 쉬운책으로산다 (눈에보이는 자료구조)

토요일 오프라인 -1

Daemon이 무엇인가? - 계속 떠서 관리해주고 특정포트나 프로세스를 관리해준다. - cron.d , rsync.d 등등 뒤에 d가 붙는경우 데몬이다. - cron은 * * * * * 분 시 일 월 년 윈도우의 서비스는 서비스 데몬이다. ssh rsync rcp rsh이 있다. 서버에 접속할때 secure가 붙은것들은 서버에 날라갈 때 암호화해서 요청하게됨 해커들은 포트스캔을 해서 무엇이 연결되어있는지 확인한다(netstat) 특정포트에 들어오는 모든 패킷(데이터를 싣어 보낼 때 특정 단위로 나눠서 보내는것) 모든걸 다쪼개면 낭비가 심하니까 버퍼라는것이 있다. 버퍼사이즈는 내가 정하기 나름이다. 그래서 버퍼단위로 나눠서 보낸다 버퍼단위로 나눌때 2진수가 String으로 보내진다. 컴퓨터가 16진수를 좋..

vim강의

ESC : 명령모드로 들어간다. i, a : 편집모드로 들어간다 (i는 그자리에 insert) vi에디터로 아직도 코딩하는 이유 (마우스를 쓰지않아도 되기 때문) hjkl이 화살표이다. ( j :↓ k:↑ l: → h:←) shift + $ : end키 (오른쪽끝으로 커서이동) shift + ^ : Home key ctrl + f : page down ctrl + u / b : page up cw(change word) : 한단어를 바꿈 dw(delete word) : 한단어를 삭제 shift + A : 라인제일끝에서 입력모드로 가기 v : 블록 지정 y : 복사 (ctrl + c) yy: 라인하나 복사 p : 붙여넣기 dd : 한라인 지우기 u : 실행취소 x : delete X : back space..

도커 기본명령어

docker pull nginx : hub.docker.com에서 nginx이미지를 다운받는것 docker image ls : 현재 도커의 이미지들을 본다. = docker images docker container ps -a : 모든 도커의 컨테이너를 본다. docker container run --name -d -p 80:80 nginx : -d(dettatch :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는것) -p 80:80(포트, 내pc 80포트와 도커의 80포트를 연결시킨다) niginx(이미지의 이름) 80포트는 웹서버의 기본포트이기때문에 localhost만 써도 접속이 가능하다. docker container rm : 콘테이너를 제거한다. docker search : 도커허브에서 해당검색어를 찾아서 목록을 반환..

7강 - docker image 만들기 (1/2)

docker version : 도커의 버전을 확인한다 docker system info : 도커의 정보들을 확인한다 docker system df docker container run --name centos2 centos:latest /bin/echo 'Hello docker!' : 새로운 도커 콘테이너를 생성한다. docker ps : 실행중인 컨테이너만 나온다. (전체 나오는것은 docker ps -a) 파일쉐어링은 팀원들과 함께 사용한다면 무조건 걸어야한다.

6강- Nginx 셋팅 및 무료 HTTPS 인증서 설치

yum repolist : 설치된 repository의 총 수를 알 수 있다. yum install epel-release -y : extra pakage 를 설치하는것( 기본적으로 많이 쓰는 패키지들을 모아두었다) cat nginx.conf 명령어를 이용해 nginx의 설정파일 내용을 보면 이러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user nginx : (로그인하기위한 유저가 아닌 프로세스를 시동시키기 위한 유저명) worker_processes : cpu가 1장짜리면 1이라고 써있다 (auto는 자동으로 잡아줌) error_log : 끝에 notice라고 붙은걸 warning으로 바꾸면 로그레벨을 warning으로 바꾸는것이다. pid : 실행되고있는 프로세스 아이디가 쓰여있는 경로 (좀비프로세스가되면 프로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