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19

종합 이슈 퀴즈사이트 Quizi - 오징어게임 심리테스트

종합 심리테스트 및 퀴즈사이트의 초석을 다질 첫번째 테스트를 배포했습니다. 사용자의 심리를 추적할 수 있는 문항들에 대답을 하면 내부 알고리즘을 통해 해당 사용자와 가장 유사한 캐릭터를 노출시키는 사이트인데요. 첫 배포지만 많은 사랑을 받고있어 굉장히 마음이 뿌듯합니다. 여러분도 같이 즐겨봐요! 심리검사로 알아보는 오징어게임속 내 캐릭터! (quizi.co.kr)

deep dive 22.this

11월부터는 매주 토요일 사용 가능 예정 아침 9시부터 저녁 5시까지, 11월이 핵심! 11월부터 본격적으로 들어갈 예정 11월 되면 개발할때 필요한 것들을 하나씩 배울예정 11월 , 12월에는 토요일에 최대한 해주실 예정 종강에 너무 의미를 두지 말고 그냥 하면 된다. 종강은 우리가 취업이 됐을 때 종강이다. 취업되더라도 토요일에 나와서 팀프로젝트 하던거 하는게 좋다. 취업준비는 11월 중순부터는 지원서를 쓰기 시작해야한다. 11월중순쯤부터는 좋은회사 나쁜회사 구별하는법등등도 천천히 알려주실 예정 딥다이브 끝나면 러닝 리액트를 먼저 하고 노드를 들어간다음 타입스크립트를 배우게된다. 거의 노드랑 러닝리액트랑 같이 이루어질 예정 시간이 되면 우리만의 npm도 한번 만들어 볼 예정 자기만의 api를 만들어서..

24. 클로저

- 클로저에서 먼저 이해해야 할 핵심 키워드는 "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이다. const x = 1; function outerFunc(){ const x = 10; innerFunc(); } function innerFunc(){ console.log(x); //1 함수는 자신이 선언된 상위스코프만 참조할 수 있다. } outerFunc(); 1. 렉시컬 스코프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가 아니라, 함수를 어디에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이를 렉시컬 스코프(정적 스코프)라 한다. - 스코프의 실체는 실행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이다. - 렉시컬환경은 자신의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를 통해 상위 렉시컬 환경과 연결된다. 이것이 스코프체인이다. - 렉시컬 환..

10/7 deep dive

객체지향에서 제일중요한건 다형성 다형성을 안보고도 잘 설명할 수 있도록 하자! 항상 코딩을 선언형으로 해야한다! 어떤 언어를 쓸지 모르니까 다 알고있어야 한다 (JS만 할게 아니기 때문에..) 컴퓨터 공학은 소프트웨어의 상위레벨이다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우리는 코딩을 하기때문에 소프트웨어를 잘 알아야한다. method는 overriding과 overloading 할 수 있다. 오버라이딩과 오버로딩의 차이는 무엇일까? 1분안에 설명할수 있도록 공부해보자. 외부의 데이터를 손상입히지 않기 위해 ... (디스트럭쳐링)을 한다. 디스트럭쳐링은 정말 중요하다! 꼭 이해하고 넘어가도록 하자! 소프트웨어공학에서 화살표는 참조를 한다는 의미이다. 화살표는 내가 -> 얘를 쓸거야 라는 의미이다. 실무에서 일반함수는..

23. 실행 컨텍스트

실행 컨텍스트는 자바스크립트의 동작 원리를 담고 있는 핵심 개념이다. 1. 소스코드의 타입 - ECMAScript 사양은 소스코드를 4가지 타입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코드는 실행 컨텍스트를 생성한다 소스코드의 타입 설명 전역 코드(global code) 전역에 존재하는 소스코드를 말한다. 전역에 적의된 함수, 클래스등의 내부코드는 포함되지 않는다 함수 코드(function code) 함수 내부에 존재하는 소스코드를 말한다. 함수 내부에 중첩된 함수, 클래스 등의 내부코드는 포함되지 않는다. eval 코드(eval code) 빌트인 전역함수인 eval 함수에 인수로 전달되어 실행되는 소스코드이다. 모듈 코드(module code) 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소스코드를 말한다. 모듈 내부의 함수, 클래스 등의 내..

22. this

1. this 키워드 - 메서드가 자신이 속한 객체의 프로퍼티를 참조하려면 자신이 속한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참조할 수 있어야 한다. - 객체 리터럴의 경우 자신이 속한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재귀적으로 참조할 수 있다. - 생성자방식으로 인스턴스를 참조하려면 함수를 정의하는 시점에는 인스턴스가 없기 때문에 식별자를 알 수 없다. - this는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자기 참조 변수이다. - this를 통해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의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참조할 수 있다. - this는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생성되며 코드 어디서든 참조할 수 있다. - this바인딩은 함수 호출 방식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된다. * this 바인딩 -> 바인딩은 ..

Observer Pattern

패턴은 같은이름들이 엄청많다(한가지도 여러가지이름으로 불린다) GoF가 정의함.. 옵저버패턴은 publisher / subscriber 패턴이라고도 부른다. 리덕스나 리듀스같은건 커맨드 액션패턴이다. (약속된 명령을 주면 어떤한 일들을 수행하도록 미리 정의하는것들) 디자인패턴을 많이 알면 회사에서 레거시 소스를 보면 구조를 빨리 잡을수가 있다. 1반 2반이 반장이 각자 반앞에서 망을보고(observer) 선생님한테 센서를 붙여놓으면 선생님의 변화에따라 반들의 액션을 정할수잇다 (observable) 여기서 반은 view 선생님은 model이 되는것 노드에서는 jade를 통해서 편하게 뷰를 그리곤 한다...

21. 빌트인 객체

1. 자바스크립트 객체의 분류 표준 빌트인 객체(standard built-in objects/native objects/global objects ECMAScript 사양에 정의된 객체를 말하며, 애플리케이션 전역의 공통 기능을 제공한다. 자바스크립트 실행 환경(브라우저 또는 Node.js 환경)과 상관없이 언제나 사용할 수 있다. 표준 빌트인 객체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로서 제공된다. 따라서 별도의 선언 없이 전역변수처럼 언제나 참조할 수 있다. 호스트 객체 호스트 객체는 ECMAScript 사양에 정의되어 있지 않지만 자바스크립트 실행 환경(브라우저 환경 또는 Node.js환경)에서 추가로 제공하는 객체를 말한다. 브라우저환경에서는 DOM, BOM, Canvas, XMLHttpRequest, f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