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강-Linux CentOS7에 Nginx 웹서버 설치하기
Yum (Yellodog Updater, Modified) : 레드햇 계열 리눅스 배포판에 사용하는 프로그램 설치 및 관리도구
다른 패키지 관리도구는 아래와 같다
apt-get : ubuntu의 패키지관리도구
npm : node의 패키지 관리도구
pip : python 의 패키지 관리도구
이런 패키지 관리도구는들 본인의 레포지토리가 있어서 설치나 업데이트 요청을 했을떄 자신의 레포지토리를 먼저
확인해 설치시킨다.
.repo 파일에서 대괄호 [ ] 는 패키지 명이다.
ps -ef | grep nginx ( nginx가 실행중이라면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다.)
nginx -s stop : nginx 프로세스를 정지시키는 명령어
nginx : nginx프로세스를 실행시키는 명령어
nginx -s reload : 엔진엑스를 끄지않고 재시작해서 프로세스아이디가 바뀌지 않는다.
어플리케이션이 돌게되면 연산은 CPU가 하게된다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한다.
리로드를 하면 메모리의 내부 정보만 비우고 다시 그곳에 쓰는것이고
stop은 프로세스를 아예 죽이고 새로 만들어서 그곳에 정보를 넣는것이다.
서비스는 시스템한테 맡기고 너가 띄워줘 라고 하는것이다 (서비스로 띄워놓으면 시스템이 다운되고
다시 켜지더라도 알아서 켜진다..)
sysytemctl start <데몬이름:여기서는 nginx> : 데몬을 서비스로 실행하는 명령어
데몬이 서버에서 떠서 죽지않고 버티고있는애를 데몬이라고 한다. (윈도우에서는 서비스라고한다)
systemctl stop <데몬이름> : 데몬 죽이기
systemctl enable <데몬이름> : 데몬을 enable시킨다.
systemctl start와 enable의 차이점
- start는 지금당장 서비스를 실행한다는 개념이고 enable은 등록개념이라
등록하면 서버가 재부팅할떄도 자동으로 켜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