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강의
강의2
배워도끝이없네
2021. 6. 21. 11:31
의존성주입을 왜 추구하는지?
클래스와 객체의 차이?
명사->엔티티/dto/vo
역활로 구분 -> controller / service/ repository
다형성의 목적은? ->실체를 모르게하는것(다형성의 원칙이다, 실체는모르고 스펙만아는것) ->바꿔치기 용이하게끔 한다.
다형성은 타입기반언어에서만 나온다.
작은규모의 프로그램을 만들떈 타입이없는애들이 더 빠르게 개발가능하지만 규모가 커지면 치명적인 약점이 된다.
OOP의 5대원칙
-solid (개방과 폐쇄의 원칙) -> ibm키보드같다 ->좋은코드는 변경을할 필요는 없지만 확장에는 열려있어야한다
annotaion사용과 xml/javaConfig사용 둘중 무엇을 해야하나 선택기준(DI를 위해서)
->Annotation의 최대 약점=소스코드가 없으면 걸 수가 없다. 따라서 내가만든 클래스가 아니면 xml이나 javaconfig를 써야한다
스프링부트는 autoConfiguration이 가장 큰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