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개발환경
-IDE: intelliJ
-쓰는 이유 : 강력한 추천기능/ 다양한 리팩토링, 디버깅/ 깃이 자유도가높음 / 검색속도가 빠름 / 빠른 업데이트
인텔리제이에는 워크스페이스같은 개념이 없다( 프로젝트와 모듈의 개념만 있을뿐..)
buildscript{
ext{ //build.gradle에서 사용하는 전역변수를 설정한다.
springBootVersion = '2.1.7.RELEASE' //springBootVersion을 생성.
}
repositories{
mavenCentral()
jcenter()
}
dependencies{
classpath("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springBootVersion}")
}
}
}
//이하 플러그인들은 부트를 쓰기위해서는 필수 플러그인이니 항상 추가해야함
apply plugin:'java'
apply plugin: 'eclipse'
apply plugin: 'org.springframework.boot'
apply plugin: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스프링부트의 의존성을 관리해주는 플러그인(중요)
dependencies{
compile('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의존성코드는 버전을 명시하면 안된다( 그래야 위에 버전에따라감)
testCompile('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2. Git에 share해보기
-윈도우기준 ctrl + Shift + A를 누른 후 share Project on GITHUB 클릭
로그인 안했으면 git 로그인을 하자..(웹페이지에서 인증하도록 넘어감)
-프로젝트명대로 github에 레포지토리가 생성된다
(컴퓨터에 git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우하단에 git을 설치하도록 안내가 나온다... 또한 git을 설치 후 사용자에 대한 설정을 해주지 않으면 친절하게 어떤 문구를 타이핑 하라고 나온다..)
(cmd창에서 run아래에 있는 두줄을 타이핑 해줌으로서 share가 가능해진다.)
-공유하고 싶지 않은 파일들은 체크해서 해제하자 (.idea는 인텔리제이 실행시 자동으로 생성시켜주는 파일들이므로 체크해제)
-깃허브 동기화 성공!
-git에서 특정 파일또는 디렉토리를 자동으로 commit 대상에서 제외되도록 처리하려면 .gitignore파일을 사용한다. (ctrl + Shift + A를 눌러 plugin 검색 plugin Action 선택)
-설치후에는 반드시 IDE를 재시작해준다.
-프로젝트명 좌클릭후 Alt + insert로 생성목록 확인. .ignore files/.gitignore File을 선택해준다.
-ignore할 파일을 작성
-ctrl + k를 눌러 커밋 페이지를 꺼내고 작성한 .gitignore를 커밋후 푸시해준다. (ctrl +Shift + k를 누르면 푸시가능)
-환경설정 끝
'SPRING > [책]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구현하는 웹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스트코드 작성 (0) | 2021.04.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