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N에 정의된 클로저에 대한 정의는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과의 조합이다"
라고 쓰여있다.
스코프든 콘텍스트던 도메인은 영역은 혼자서 존재할 순 없다(기준이 존재한다)
컨텍스트끼리도 서로 관계를 갖고 기준이 있다. (컨텐스트는 문맥, 맥락이 된다. 컨텍스트에서 컨텍스트를 유발하기때문)
렉시컬 스코프는 상위에서 하위로 흐르는 흐름을 의미하는데 상위스코프에서는 하위스코프를 접근할 수 없다.(문맥상 하위에서는 상위에 대해서 유추할 수 있찌만 상위에서는 하위를 유추할 수 없기 때문)
클로저를 쉽게말하면 함수가 선언된 위치와 그 함수의 상위스코프간의 콤비네이션이다.
클래스에서 static 을 쓰면 인스턴스를 생성할때 할떄 내려주지않는다 (new로 생성할땨도 내려주지 않는다)
함수든 클래스든 인스턴스라인과 함수프로토타입라인이 따로있다.
클래스에서 #을 붙이면 pirvate으로 되어서 접근이 되지않는다. (get을 선언한 함수를 호출해서 #이 붙은 변수에 접근할떄)
new로 생성되는 애들은 new.target을 사용할수 있다.
스프레드연산자와 레스트연산자의 차이에 대해서도 한번 알아보자..
'SeSac (2021-08 ~ 2021-12) > 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ep dive Array / Number / (0) | 2021.10.23 |
---|---|
deep dive Array (0) | 2021.10.21 |
deep dive 22.this (0) | 2021.10.12 |
10/7 deep dive (0) | 2021.10.07 |
Observer Pattern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