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강의

강의14

배워도끝이없네 2021. 6. 24. 11:45

aop는 Aspect Oriented Programming

 

Aspect -> Cross concern - > 횡단관심사/ 공통관심사

이것들의 의미하는 것은 핵심로직은 아니지만 선조건, 부가기능 등등을 cross concern이라고 한다.

 

db에서 close를 하면 내부적으로는 socket연결이 끊어지는것이다

 

근데 커넥션풀을 이용한다면 close를 하면 안되는건데 왜 autoclose를 할까?

 

프록시덕분에...

 

스프링은 AOP설정만 해주면 autoProxy해준다 <--스프링의 굉장한 장점

target은 original 객체 proxy class 는 프록시 객체

 

프록시객체를 자동으로 만들어주는것

 

 

 

aspect -> 지금부터 모든 서비스의 실행시간을 찍어(같은 명세(logging, 보안, 트랜젝션등..) 그래서 추상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advice -> 실제로 우리가 만들어낸 코드(로거를 찍거나 하는것)

 

pointcut -> 그 객체라는 여러개의 메소드중에 어떤 메소드에 advice를 적용할것인지 찍어주는게 pointcut이다

 

 

aop를 이용하기위해선 

 

위버와 aspectjrt 의존성을 취가해야한다 (대신 라이브러리의 버전을 똑같이 맞춰주어야 한다)

 

 

 

'SPRING >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14  (0) 2021.06.24
강의 13  (0) 2021.06.24
강의 12  (0) 2021.06.23
강의11  (0) 2021.06.23
강의 10  (0) 2021.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