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3에러를 시큐리티에서 처리하고싶으면? 403에러를 커스터마이징한다.
쿠키에는 String 밖에 들어갈 수 없는데 한글은 utf로 인코딩해서 넣어주어야 한글이 깨지지 않는다.
csrf().disabled()를 쓰는이유는? 세션당 번호를 하나씩 주고 번호를 요구한다(GET방식이 아닌 모든방식을 할때는 요구한다) 근데 토큰값이 매번 바뀐다.
api서버를 만들때는 csrf토큰을 보통은 이용하지 않는다(매번 요청마다 토큰을 보내주면 복잡해지니..)
인가provider가 있으면 db에 있는 정보로 authentication을 걸어줄 수 있따.
이때 userDetailsService라는 아이를 바꿔준다
///
EntityGraph의 type
Load(명시한 아이는 EAGER 나머지는 entity에 명시된 대로) / FETCH(명시한 아이는 EAGER , 나머진느 LAZY)
ArrayList와 LinkedList의 차이
ArrayList는 array의 capacity가 부족하면 x2씩 중가한다.
LinkedList는 capacity는 새로운 class를 생성하고 연결해주는 방식이다.
List =>스펙/특징
Array List / Linked List ->구현방식
spring security에서 커스터마이징시 가장 중요한 아이 -> UserDetails
'송파구청 특강 (2021-06 ~ 2021-07) >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 28 (0) | 2021.07.07 |
---|---|
강의27 (0) | 2021.07.07 |
강의 25 (0) | 2021.07.06 |
강의 24 (0) | 2021.07.06 |
강의23 (0) | 2021.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