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ax로 데이터를 가지고왔는데 그 데이터를 화면에서 사용하기위해 처리하는애를 view model(VM)이라고 한다.
컨테이너형 컴포넌트와 프레젠테이션형 컴포넌트 두가지로 나누어서 사용하기 시작했따(atomic 디자인은 시간소모가 너무많고 복잡해서)...
컨테이너형 안에는 데이터들이 들어가있다.. 하위컴포넌트는 출력하는 형태의 컴포넌트들이다
리액트의 특징
1. oneway통신이다. (위에서 아래로는 줄 수 있지만 아래에서 위로는 못준다
위에서 아래로 내려주는애들(props라고 한다) -중간에 props의 변환이 생기면 안된다.(읽기전용)
함수는 1급객체이다(인자를 주고받고할수있는객체..)
useState <- Hooks라고 한다 (선언한 변수들은 상태를 감독하겠다라는 의미)
hooks가 걸려있으면 외부에서 listening하고있는것이다.
만약 listenning하고있을떄 상태가 바뀐다면 다시 다시실행한다는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