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구청 특강 (2021-06 ~ 2021-07)/React

리액트 강의 12

배워도끝이없네 2021. 7. 15. 18:27

axios에서 delete요청을 보낼때는 {data:{ } }가 요청데이터로 들어가야한다.

 

[Redux--------------]

 

store - 공유되는 자원의 저장공간 / 하나의 app은 하나의 ~~를 사용

 

action - 상태의 변화를 전달하는 메세지

 

reducer - 순수한 함수로, store가 유지해야 하는 데이터를 가공해 반환하도록 구성한다.

 

dispatch- 채팅메세지를 보낸다고 생각하면 된다

 

useSelecetor - state를 반환한다.

 

 

//리덕스 개발순서

 

1. -> 슬라이스를 만든다 (store에 들어가는 logic의 조각) =>안에 전역상태/함수를 넣는다...

 

2. -> store.js라는것을 하나 만든다.(슬라이스가 여러개 있어서 그것들을 combine한다)

 

3. -> App.js(리액트)에 store를 등록해준다.

 

4. -> 컴포넌트 개발

//세팅끝!

 

5. 새로운걸 또 만든다면

5-1 . 슬라이스 만들기

5-2. 슬라이스를 store.js에 추가

5-3. 컴포넌트 개발!

 

 

리덕스 툴킷 (RTK)로 가면 위에 있는애들같은거 안만든다...

reducers안에 있는 action들은 countSlice.actions... 이런 이름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리리덕스의 3가지 원칙

1. application과 store는 하나다

2. 읽기전용이다. (상태는 늘 새로운 상태이다)

3. 변화는 순수 함수로 작성되어야 한다

 

 

 

 

 

reducers의 key값이 action의 이름이 된다

'송파구청 특강 (2021-06 ~ 2021-07)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액트 강의 14  (0) 2021.07.16
리액트 강의 13  (0) 2021.07.16
리액트 강의 11  (0) 2021.07.15
리액트 강의 11  (0) 2021.07.14
리액트 강의 10  (0) 2021.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