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ac (2021-08 ~ 2021-12)/Linux

10강 한방에 정리하는 리눅스 명령어와 쉘스크립트 (1/2)

배워도끝이없네 2021. 8. 17. 19:50

proc 디렉토리는 프로세스가 구동될때 생긴다.

/proc/cpuinfo : cpu의 제원을 보여준다.

/sbin : 관리자용 명령들

 

dnf는 rpm의 패키지 의존성 문제를 해결한 패키지 매니저이다.

localdef -f UTF-8 -i ko_KR ko_KR.utf8 : 한글입력을 하기위해 locale을 바꿔주는 명령어이다.

  => utf8이 없다는 에러가 나온다면 yum install glibc-locale-source glibc-langpack-en 명령어로 소스를 만든 다음 실행시켜 보자!

 

touch : 소스를 reload한다 (새로고침)  아무것도 없는 파일을 터치하면 새롭게 파일을 쓴다.

free -h: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하는것

free는 activee된 것을 보는것

vmstat 1 : 1초단위로 계속 보여주는것

vmstat에서는 id(idle)을 가장 많이 본다.

vmstat에서 swap은 메모리가 부족해서 디스크를 메모리처럼 쓰는것이다.

vmstat -a : active(메모리가 할당된 것)

top: 작업관리자.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갱신이 가능하다.

top -h : 쓰레드까지 보고싶을때 사용한다.

 

yum install java-1.8.9-openjdk -y : 자바 1.8버전 centOS에서 설치하는 명령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