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mod -aG wheel <유저네임> : sudo권한을 주는것
파일압축은 최근에는 xz , bzip2를 많이 쓰고 gzip은 예전부터 많이 썻다
xz는 압축률이 높다.
gzip <파일이름> : 파일을 gzip으로 압축한다.
gzip -d <압축파일이름> : gzip파일 압축을 해제한다.
bzip과 xz도 gzip과 동일하게 사용한다.
zip <바뀔 파일명.zip> <압축할 파일명> : 바뀔파일명으로 압축한다.
unzip <압축파일이름> : 압축을 해제한다.
gzip, bzip, xz은 파일을 그대로 압축한다(원본파일이 압축파일로바뀜)
zip은 압축파일을 새로 생성한다.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는것은 tar이다.
tar은 여러개를 묶어서 압축하는 것이다.
tar cvfz <저장될 파일명.tar.gz> <묶을 파일명... *.log같은 방식도 가능> : 지정된 파일들을 압축 (cvfz의 c는 create)
tar xvfz <tar파일> : 압축 해제
용량을 많이 줄이려면 cvfJ 혹은 cvfj로 걸면 된다
zip -p "패스워드" "바뀔이름.zip" "압축할파일이름" : 비밀번호를 압축할때 걸 수 있다.
ftp는 21번포트
ftps는 22번포트 (ssh)
ownCloud: 클라우드 서버(mariadb, httpd, php등등을 설치해야한다.)
ftp는 외부에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계정을 만든다. (ssh에 접근하지못하게 해야하기때문)
useradd -s /bin/false <유저명> : 로그인을 할 수 없는 계정을 만든다.
/etc/ssh/sshd_config 에서 sftp를 internal-sftp로 변경해준다
그리고 systemctl restart sshd 로 데몬을 다시 띄운다.
->ftps사용가능
Forklift를 사용해서 접속가능
ftp 프로그램이 없다면 sftp -p <포트번호> <아이디>@<접속아이피>로 접속한다.
접속후 lpwd -> 내 로컬의 루트
lls -> 로컬루트의 파일리스트
get <가져올 파일명> : 내 로컬로 파일을 까져온다
put <업로드할 파일명> : 파일을 업로드한다
get -r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를 통쨰로 다운로드한다
put -r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를 통째로 업로드한다.
find <폴더> -name <찾을이름> | wc -l : 폴더에 검색어에 해당하는 파일을 라인단위로 워드카운트(수를세줘라)
쉘스크립트로
cd 경로
find . -name "검색어" -mtime +30 -delete : 검색어로 검색한다음 30일 지난건 지워라
이 쉘 스크립트를 crontap으로 매일 실행시킨다면 30일단위의 파일만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크론탭 말고 at에도 등록할 수 있다.
log파일에서
cat access.log | awk '{print $1}' | sort | uniq -c | sort -r
을 하면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서 어떤아이피가 몇번 들어왔는지 카운트해서 보여줄 수 있다.
cut은 구분자가 명확한 파일들을 보기 쉽게 해준다.
cat /etc/passwd | cut -d: -f1,7 -> 구분자를 :로 해서 1번째랑 7번째를 보여줘
dns는 도메인을 가지고 ip를 찾아주는 서버이다.
도메인은 .com .net등등이 가장 상위레벨이라 도메인을 찾는데 가장 유리하다.
네임서버가 멀면 찾는데 오래걸리기 때문에 느려진다
/etc/resolv.conf에서 자기와 가장 가까운 네임서버로 지정해줘야 빨라진다.
'SeSac (2021-08 ~ 2021-12)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강의13 - 실무에서 꼭 필요한 기술 (2/2) (0) | 2021.08.20 |
|---|---|
| 11강- 한방에 정리하는 리눅스 명령어와 쉘스크립트 (2/2) (0) | 2021.08.20 |
| 10강 한방에 정리하는 리눅스 명령어와 쉘스크립트 (1/2) (0) | 2021.08.17 |
| 공인IP (0) | 2021.08.14 |
| 라우터 (0) | 2021.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