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stat : 가장 많이쓰는 모니터링 도구
vmstat 1 : 1초에 한번씩 실행해라
r(runable que): 지금 실행 해야하는데 대기중인 프로세스들
b(block) : I/O blocking되고 있는 프로세스들
swpd : 스왑되고있는 프로세스들
free : 현재 메모리에서 free한 공간
buff(buffer) : 현재 버퍼되고있는 공간
cache : 캐시를 올려놓은 공간
si(swap in) : 메모리가 부족해서 디스크에서 읽어오는 양
so(swap out) : 메모리가 부족해서 디스크에 쓰는 양
bi(block in) : 디스크나 디바이스에서 읽는것
bi(block out) : 디스크나 디바이스에서 쓰는것
in(interrupt) : cpu연산할 때 방해받는 수
cs(context swiching) : cpu 연산들이 전환되는 횟수
us : 유저가 사용하는 cpu 퍼센테이지
sy : 시스템이 사용하는 cpu 퍼센테이지
id(idle) : 놀고있는 cpu
wa(wating) : 파일I/O 여러개를 동시에 할 수 없기때문에 I/O를 하기 위해 wating하는 cpu
st(stallen) : 버츄얼머신 바깥에서 훔쳐온 cpu
vmstat -a : activity한것과 inactivity한 것들이 나온다
vmstat -d : 디스크에 관련된 것들이 나온다
vmstat -s : 스텟이다.
sar : vmstat은 현재의 정보만 볼 수 있는데 이전의 상황들을 보는 명령어이다
sar -f /var/log/sa/sa17 : 17일날의 시간대별 sar를 볼 수 있다.
sar -q : 로드된 평균을 보는것이다.
netstat (네트워크 모니터링)
netstat | more
ESTABLISHED : 연결중이다
yum install net-tools : netstat이 있어서 설치하면 netstat을 볼 수 있다.
netstat -a : Listening중인것들도 볼 수 있다.
netstat -l : established가 빠진것이다
netstat -an | grep 3306 : 3306포트만 보는것
Load Balancing
- 서버를 두대 이상으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한대가 다운되면 다른서버가 대신 구동되어야 하기 때문)
- 같은도메인이라도 아이피를 여러개 줄 수 있다.
- 보편적인 구성방식
* SQL서버는 Master와 Slave서버로 이중화시킨다
* 웹서버는 두대를 쓴다 (NGINX)
* 두개의 서버의 업로드 디렉토리를 NFS(Network File System)로 구성하면 공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 로드발란서는 L2,L3,L4,L7등등이 있다. 제일많이쓰는것은 L4, 규모가 좀 있으면 L7
* L2는 mac address(네트워크 카드에 붙어있는 유니크 주소) 로 Round Robin한다
* L3는 네트워크 레이어로 IP로 Round Robin한다
* L4는 transeport Layer 라고 해서 포트로 Round Robin한다
* L7는 application Layer로서 가장 상위에 있다. 사용자가 무엇을 호출했는지에 따라 처리할 수 있고 ip에 대해서도 처리할 수 있다. 쿠키 등등도 체크해서 처리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처럼 조건절등등도 걸 수 있다)
* 로드발란서로 들어오면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로 들어가서 서버들로 로드밸런싱 된다.
* NAT는 공인IP를 가지고 비공인IP를 해석해 주는 것이다.
* Round Robin은 어디로 갈지 모르고 아무데나 보내는 방식이다
* Least Connection은 커넥션 수가 적은쪽으로 보내는 방식이다
* Weighted Least Connection은 CPU상태에 따라 가중치를 주는것이다 (9:1 이런식)
* Fastest Least Connection은 응답이 빠른쪽으로 한다.
* Adaptive는 커넥션수가 좌우를 한다
* Fixed는 정해놓는것이다 (홀수번은 1번서버 짝수는 2번서버같이..)
'SeSac (2021-08 ~ 2021-12)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12 - 실무에서 꼭 필요한 기술 (1/2) (0) | 2021.08.20 |
---|---|
11강- 한방에 정리하는 리눅스 명령어와 쉘스크립트 (2/2) (0) | 2021.08.20 |
10강 한방에 정리하는 리눅스 명령어와 쉘스크립트 (1/2) (0) | 2021.08.17 |
공인IP (0) | 2021.08.14 |
라우터 (0) | 2021.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