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Lite는 핸드폰같은데에 많이써서 순위가 높은것이다.
빅데이터 인공지능쪽은 MongoDB를 많이 쓴다.
레디스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써놓기때문에 빠르다.
DB의 속도는 디스크의 위치를 찾아가는것이 많이 좌우한다.
오라클은 관공서나 금융권에서 많이쓴다.
DynamoDB는 최근에 상승세이다. (비정형데이터들이 많고 몽고DB는 라이센스문제들이 계속 있기때문)
Heroku는 루비같은것을 만들면 쉽게 올릴 수 있게한다(아니면 apk파일같은것)
우리나라 클라우드시장은 최소 1년에 8조이상발생한다.
jQuery는 새로 시작하는 프로젝트들은 잘안쓴다.
Express(node.js서버)
뷰는 기능이 작은대신 배우기 쉽고 심플하다.
ASP.NET Core는 최근에 MS가 굉장히 밀어주고있다.
Flask는 최근에 조금 하양세이다 (fast api가 뜨니까 플라스크가 살짝 죽는중)
PHP를 하는데 Lalavel을 안쓴다는것은 서버가 좀 부실하다는 의미일 수 있다(제대로 된 서버개발자가 적을수 있다는 이야기)
스티브잡스가 엘런튜닝의 사망을 기리기 위해서 한입먹은 사과를 썼다는 이야기가 있다.
ENIAC => Assembly => Fortman => Algol => Lisp(functional Language) => Cobol(소스코드에 데이터가 같이 들어가있다)
=> BASIC (교육욕 프로그래밍언어) => Pascal => Forth => CommonLisp => C => Scheme(<-Lisp) =>SQL
=> Ada(미 국방부, F22) => Self(<- CommonLisp) => C++ ( <- C ) => MATLAB => Object-C, ErLang => Perl
=> XML => HTML ( <- XML <- Enqure) => Haskell => Python => Ruby, R => Java (<- Oak <- C++)
=> CLOS => JS,PHP => OCaml (-> Rust), CSS1 => CSS3 ...
HTML은 팀 버너스 리가 만듬.
'SeSac (2021-08 ~ 2021-12) > 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숫자야구 리뷰 (0) | 2021.09.02 |
---|---|
13~17 deep dive (0) | 2021.08.31 |
ch12 deep dive 함수 (0) | 2021.08.26 |
ch10~11 deep dive (0) | 2021.08.24 |
Ch. 7~9 deep dive JS (0) | 2021.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