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19

5강 - Linux CentOS7에 MySQL8 설치

uname -a를 치면 해당 linux의 버전이 나온다.(여기서 cpu든 뭐든 확인가능) mysql을 서버에 설치하기위해 mysql server의 다운로드 링크 주소를 복사한다음 (ex. https://dev.mysql.com/get/Downloads/MySQL-8.0/mysql-community-server-8.0.26-1.el7.x86_64.rpm) 리눅스에서 yum localinstall 를 하면 로컬에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다. *나같은경우 저것을 하기 전에 RMP Pakage를 먼저 설치하지 않으면 에러가 나서 먼저 설치해주었다. 설치가 완료된 모습. vi /etc/my.cnf

4강-Linux 서버에 Volta, node, pm2, python 설치

node.js를 설치하기 위해서 volta를 설치한다. volta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VOLTA_HOME이 패스에 추가되어있어야 한다. 볼타는 한 서버에서 노드 여러개의 버전을 관리할때 더 편하게 관리해줄 수 있고. 빠르고 가볍다. PM2는 지금 노드가 프로세스를 어떤것을 쓰고있는지 이런것들을 다 지원해주기 때문에 노드몬보다 pm2가 더 좋다. curl https://get.volta.sh | bash curl : 이 url에 있는 소스를 | (파이프라인) : 오른쪽에 bash : bash에 옮겨 줘 라는 명령어 이다. . : .은 source로 대체해 쓸 수 있으며 메모리에 올리는 기능을 한다. volta install node@ : 볼타를 이용해 노드를 설치할 수 있다. 꼭 LTS버전을 이용하도록 하자.

3강-Linux CentOS7에 Nginx 웹서버 설치하기

Yum (Yellodog Updater, Modified) : 레드햇 계열 리눅스 배포판에 사용하는 프로그램 설치 및 관리도구 다른 패키지 관리도구는 아래와 같다 apt-get : ubuntu의 패키지관리도구 npm : node의 패키지 관리도구 pip : python 의 패키지 관리도구 이런 패키지 관리도구는들 본인의 레포지토리가 있어서 설치나 업데이트 요청을 했을떄 자신의 레포지토리를 먼저 확인해 설치시킨다. .repo 파일에서 대괄호 [ ] 는 패키지 명이다. ps -ef | grep nginx ( nginx가 실행중이라면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다.) nginx -s stop : nginx 프로세스를 정지시키는 명령어 nginx : nginx프로세스를 실행시키는 명령어 nginx -s reload..

리눅스 1강 - Linux, Cloud, Serverless 소개

리눅스는 Linux Torvalds를 필두로 GNU project에서 만들었다. 리눅스 커널은 어셈블리어로 쌓여있다. 쉘은 CLI라고 한다 (Command Line Interpriter) 리눅스의 기본쉘은 bash쉘이다. 리눅스의 배포판은 레드햇 / 데비안 계열이 있다. 레드햇은 안정적이다 레드햇 계열 -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 유료 - CentOS : RHEL을 무료판으로 바꾼것 - Fedora 데비안 계열 - Debian - Ubuntu - KNOPPIX(CD Linux) VMware와 Docker의 차이점 - Doker는 Host Operating System 위에 설치되어 각각의 os가 가볍다 (host OS를 활용해서 사용하기때문에) - VMware는 Hype..

리눅스 기초 1강

Linux란 1991년 핀란드인 Linux Tovalds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리눅스의 배포버전은 계열이 있다. - Devian 계열: Devian(mac도 포함한다), Ubuntu, KNOPPIX(CD Linux) - Red Hat 계열: Fedora, RedHat Enterprise(큰회사들은 아직도 많이씀), CentOS, Vine Linux(Jp) - Slackware 계열: openSUSE(Novell), SUSE Linux Enterprise 리눅스는 Kernel이라는것이 있다. 역활: Management the Memory, File System, CPU, Device, etc.을 관리한다 약간 펌웨어의 느낌이다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의 느낌) infra위에 OS가 있다 (OS는 ke..

리액트 강의 15

요즘 싱글페이지들이 뒤로가기해도 이전 url로 가지않는 이유 - HTML5에서 히스토리라는것을 지원하기 때문 SPA에서 히스토리 제어를 하는법 (리액트에서) - > router라는 것을 이용한다. [router] - 분기를 처리해주는 기능 - 특정상황에서 특정 컴포넌트만 보여준다. html5기능중 history.pushstate()를 하면 주소만 바꾼다음에 추가해준다. SPA에서는 a태그를 쓰면 안된다 (아예 새로 요청을 하는것이기 때문에 화면이 처음부터 랜더링 되는것이라 SPA의 단점인 첫 로딩이 느린부분이 a태그를 누를떄마다 적용되는것..) 그래서 link라는 태그를 쓴다.

리액트 강의 14

SPA의 단점: - 첫 로딩이 느리다(라이브러리랑 이것저것 처음에 다 구성시켜놓고 나중에 페이지만 바꿔끼는 방식이라 첫 로딩이 느림) - 메모리 문제 ( 사용하지 않아도 유지해야하는 데이터들이 많다... Store에 상태들을 다 저장해두기 때문..) 리덕스를 사용하는 기준: 1. 서버의 데이터를 스냅샷 하지 말자 => 계속 서버에서 빠르게 바뀌는 애들은 리덕스로 관리하지 말자./ useEffect를 사용하자. 2. 상태가 다양하면 리덕스를 쓰지 말자 => slice하나에서 너무많은 상태를 관리하거나 너무많은 slice를 만들 상황이 생긴다. 3. 상태 데이터가 단순하고 고정적인 데이터만 리덕스를 이용하자. 4. 자주 변경이 되지 않는 데이터라면 리덕스로 관리해도 괜찮다 종합: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