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 strict' //프로미스는 비동기통신에서 콜백함수 대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브젝트이다 //기능수행이 완료되고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에 대해서 아는게 중요 -- state //produce와(제공자) consumer의 차이점에 대해서 아는게 중요하다(데이터 제공에 대한) //state : 오퍼레이션이 수행중일때는 pending상태라고한다. // ->오퍼레이션이 다 끝나게되면 fulfilled 상태가 된다/ 또는 rejected //Producer vs Consumer //1. Producer //when new Promise is created, the executor runs automatically. const promise = new Promise((resolve,rejec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