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19

7. 연산자

- 피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 한다. - 피연산자를 연산하여 새로운 값을 만드는 동사 역활. 1. 산술연산자 - 산술연산이 불가능한 경우 NaN을 반환. 1.1 이항 산술 연산자 - 2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해 숫자 값을 만든다. -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효과는 없다. 1.2 단항 산술 연산자 (++, --, +, -) - 1개의 피연산자를 연산해 숫자 값을 만든다. - 피연산자의 값을 변환하는 부수효과가 있다. 1.3 문자열 연결 연산자 (+) - 피연산자중 하나 이상이 문자열인 경우 문자열을 이어준다. - true/false, null 등은 강제로 타입이 바뀐다(문자열 형식의 1또는 0 ) 2. 할당 연산자 - 우항에 있는 피연산자의 평가 결과를 좌항의 변수에 할당한다. - ..

deep dive ch1~6

웹서버와 WAS의 차이점 WAS는 서버가 어플리케이션 역활까지 하는것 WS는 어플리케이션이 없다. 실제로 nginx를 80포트로 두면 사용자가 nginx로 들어온 웹서버는 나중에 우리가 노드서버를 띄울것이다 혹은 플라스크 nginx는 index.html을 서비스한다. 사용자가 /api/users라는 api를 요청하면 네임스페이스에 따라서 노드냐 플라스크냐를 바꿀수가 있다. (nginx.conf에 건다) reverse proxy... 프록시 역활을 한다. 포트를 주면 엔진엑스를 거치지 않고 노드로 바로 들어간다. 엔진엑스만 가지고 웹서버라고 부른다. (소스코드의 실행에 대한 권한이 없다) 어플리케이션이란 여러가지 비즈니스 로직이 필요한건데 엔진엑스는 프록시역활만 했기때문에 웹서버라고 한다. 정적인 파일들은..

10강 한방에 정리하는 리눅스 명령어와 쉘스크립트 (1/2)

proc 디렉토리는 프로세스가 구동될때 생긴다. /proc/cpuinfo : cpu의 제원을 보여준다. /sbin : 관리자용 명령들 dnf는 rpm의 패키지 의존성 문제를 해결한 패키지 매니저이다. localdef -f UTF-8 -i ko_KR ko_KR.utf8 : 한글입력을 하기위해 locale을 바꿔주는 명령어이다. => utf8이 없다는 에러가 나온다면 yum install glibc-locale-source glibc-langpack-en 명령어로 소스를 만든 다음 실행시켜 보자! touch : 소스를 reload한다 (새로고침) 아무것도 없는 파일을 터치하면 새롭게 파일을 쓴다. free -h: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하는것 free는 activee된 것을 보는것 vmstat 1 : 1초단위로..

6. 데이터 타입

- 자바스크립트(ES6)는7개의 데이터 타입을 제공한다. - 7개의 데이터 타입은 원시타입(primitive type)과 객체 타입(object/reference type)으로 분류된다. 1. 숫자 타입 (Number) - 숫자 타입은 배정밀도 64비트 부동소수점 형식을 따른다 => 모든 수를 실수로 처리하며, 정수만을 표현하기위한 데이터 타입은 존재하지 않음. - 자바스크립트는 2,8,16진수를 위한 데이터 타입을 제공하지 않기 떄문에 이들 값을 참조하면 모두 10진수로 해석된다. - 숫자 타입은 추가적으로 3가지 특별한 값도 표현할 수 있다. 1) Infinity: 양의 무한대 2) -Infinity: 음의 무한대 3) NaN: 산술 연산 불가 (Not a Number) - 자바스크립트는 대소문자를 ..

4. 변수

1. 변수란 무엇인가? 왜 필요한가? -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 메모리공간에 저장된 값을 식별 할 수 있는 고유한 이름을 변수이름/변수명 이라고 한다. - 변수에 저장된 값은 변수 값이라고 한다. -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을 할당(대입,저장) 이라고 한다. - 변수에 저장된 값을 읽어 들이는 것을 참조라고 한다. 2. 식별자 - 변수 이름은 식별자(identifier) 라고도 한다. - 식별자는 어떤 값을 구별해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이름을 말한다. - 식별자는 값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주소와 매핑 관계를 맺으며, 이 매핑 정보도 메모리에 저장되어야 한다. - 식별자는 값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기억하고 ..

3. 자바스크립트 개발 환경과 실행 방법

1. 자바스크립트 실행 환경 - 브라우저와 Node.js는 용도가 다르다. 브라우저 : HTML, CSS, JS를 실행해 웹페이지를 브라우저 화면에 렌더링 하는 것 Node.js : 브라우저 외부에서 자바스크립트 실행 환경을 제공. - 따라서 브라우저와 Node.js에서 ECMAScript외에 추가로 제공되는 기능은 호환되지 않음 (ex. 브라우저의 DOM API, Node의 File I/O) - 브라우저는 ECMAScript와 클라이언트 사이드 Web API를 지원. - Node.는 ECMAScript와 Node.js고유의 API 지원. 2. 웹 브라우저 2.1 개발자 도구 - F12로 열 수 있다. - Element, Console, Sources, Network, Application 이 존재한다...

2. 자바스크립트란?

1. 자바스크립트의 탄생 -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가 1995년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경량 프로그래밍 언어를 도입. - 제작자는 브렌던 아이크. - 1996년 3월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2에 탑재되었고, Mocha 라는 이름으로 명명됨. - 그해 9월 LiveScript로 이름이 바뀌고, 12월에 JavaScript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2. 자바스크립트의 표준화 - 1996년 8월 MS는 자바스크립트의 파생버전인 "JScript"를 IE에 탑재. - JavaScript와 JScript가 표준화 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만 호환되는 문제가 발생. - 결국 넷스케이프와 MS는 자사 브라우저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자사브라우저에서만 동작하는 기능들을 추가하기 시작. - 이로인해 브라우저에 따라 웹페이지가 비정..

1. 프로그래밍

1. 프로그래밍이란? - 컴퓨터에게 실행을 요구하는 커뮤니케이션 - 0과 1만 아는 기계도 실행할 수 있을정도로 정확하고 상세한 요구사항을 설명. 2. 프로그래밍 언어 - 기계어를 대안할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 작성한 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기를 이용해 변환하는 작업을 한다. - 이 번역기를 컴파일러 혹은 인터프리터라고 한다. - 언어는 자연어와 인공어로 구분되어 있고, 프로그래밍 언어는 인공어이다. - 프로그래밍 언어는 구문(syntax)과 의미(semantics)의 조합으로 표현된다. 결론: 프로그래밍은 요구사항의 집합을 분석해, 적절한 자료구조와 함수의 집합으로 변환한 후, 그 흐름을 제어하는것